새벽기도
... 60년대만 해도 농촌교회의 새벽기도는 소박하고 아름다웠다. 전깃불도 없고 석유 램프불을 켜놓고 차가운 마루바닥에 꿇어앉아 조용히 기도했던 기억은 성스럽기까지 했다.
교인들은 모두 가난하고 슬픈 사연들을 지니고 있어 가식 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었고, 그 중에 6·25때 남편을 잃고 외딸 하나 데리고 살던 김아무개 집사님의 찬송가 소리는 가슴이 미어지도록 애절했다. 새벽기도 시간이면 제일 늦게까지 남아서 부르던 <고요한 바다로> 찬송가는 그분의 전속곡이었다. 마지막 4절의
이 세상 고락간 주 뜻을 본받고 내 몸이 의지 없을 때 큰 믿음 줍소서
하면서 흐느끼던 모습은 보는 사람들을 숙연하게 했다. 가난한 사람의 행복은 이렇게 욕심 없는 기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벽기도가 끝나 모두 돌아가고 아침햇살이 창문으로 들어와 비출 때, 교회 안을 살펴 보면 군데군데 마루바닥에 눈물자국이 얼룩져 있고 그 눈물은 모두 얼어 있었다...
권정생, <우리들의 잃어버린 교회> 중에서
'신앙/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깔깔묵상) 누가 문제인가? (0) | 2008.07.04 |
---|---|
(옮김) 시국선언문-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입장- 성공회 정의평화사제단 (0) | 2008.06.12 |
신학적 성찰로 “대오각성(大悟覺醒)”을! (성공회신문 논단) (0) | 2008.05.28 |
(옮김) 성삼위일체 이콘 (0) | 2008.05.24 |
성공회 주교직의 이해 (옮김) (0) | 2008.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