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씀/설교

두 개의 나라

by 분당교회 2018. 11. 26.

연중 34주일 설교말씀
성공회대학교 신학대학원장 양권석 신부


두 개의 나라


1. 예수의 왕권 사칭 논쟁

① 오늘 복음 말씀은, 로마의 총독 빌라도가 예수님을 심문하는 장면입니다.

② 그런데 심문하는 로마총독 빌라도가, 피고인 예수에게 묻는 죄의 내용이 "당신이 정말로 유대인의 왕인가?"라는 것이었습니다.

③ 로마의 식민지였던 유대 땅에, 로마가 모르는 유대인 왕이 있을 수 없고, 또 빌라도가 모르는 왕이 있을 수도 없습니다. 

④ 그러니까, 빌라도가 예수님을 향해 "당신이 유대인들의 왕인가?"라고 묻는 질문은, 사실상, "당신이 유대인들의 왕을 사칭하면서, 불법으로 로마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려는 사람이 맞는가?"라는 내용의 심문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왕권 사칭과, 반란죄에 대한 심문입니다. 

⑤ 그런데 예수님의 대답은 예상을 빗나갑니다.

⑥ 예수님은, "당신이 유대인의 왕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하지 않습니다.

⑦ 36절을 보면 예수님은 즉답을 피하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나라, 서로 다른 왕국에 대해서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⑧ "내 왕국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다" 라고 단호하게 말씀하시면서, 만일 내 왕국이 너희들과 같은 세상의 왕국이었다면, 나도 부하들과 군대도 있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내가 이렇게 쉽게 끌려왔겠느냐, 내가 전쟁을 일으키는 한이 있어도 쉽게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⑨ 예수님의 의도를 요약하자면, "나는 너희들이 생각하는 그런 나라 또는 왕국, 다시 말해 로마 제국과 같은 왕국에 속한 사람이 아니다", "나는 그런 나라를 세울 생각도 없고, 그런 나라의 왕이 되고 싶은 마음도 없다"는 뜻입니다.

⑩ 한 마디로, 로마 제국 같은 나라는 나라도 아니라는 식입니다. 그리고 진짜 나라는 "하느님 나라다"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⑪ 예수님이 이런 식으로 대답하니까, 빌라도가 조급해서 다시 묻습니다. "아무튼 그래서 당신이 유대인의 왕이야, 아니야? 하고 다그칩니다.

⑫ 그러자 예수님은 또 즉답을 피하면서, "내입으로 내가 왕이라고 한적은 없다. 당신이 당신 입으로 그렇게 말했을 뿐이다", "나는 당신이 생각하는 그런 권력의왕이될 생각은 조금도 없다", 오히려 "하느님 나라의 진리를, 다시 말해 새로운 나라, 새로운 삶의 진리를 전하려고 왔을 뿐이다", 만약에 "정말로 너희가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 새로운 나라를 원한다면, 그리고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삶을 원한다면, 내 말을 알아들을 것이다."

⑬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처럼 그렇게 왕을 사칭하는 사람이 아니다, 하지만, 하느님 나라를 정말로 믿고 원하는 사람들에게 나는 왕일 수 있다." 결국 이런 말씀입니다.

⑭ 그러니까, 오늘 복음 말씀이 우리에게 강조하고 있는 것은,  첫째로 하느님 나라와, 세상 나라의 차이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로 우리가 세상 나라가 아니라, 하느님 나라를 믿고 따르는 백성이 될 때, 비로소 예수님이 진정한 그 나라의 주인 곧 왕임을 알 수 있다는 말입니다.


2. 두 나라의 차이 

① 그렇다면 그 두 나라의 차이는 무엇일까? 

② 사실 복음서 전체가 이 두나라의 차이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③ 저는 오늘 이 두 나라의 차이를 성공회대학교 신학대학원 성직과정에 있는 학생들의 공동생활을 통해서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④ 사실은 모든 수도원 생활이나, 또 모든 공동체 생활이 다 비슷합니다. 수도 생활이나, 공동체 생활의 진짜 어려운 점은 공부하고, 기도하고, 함께 일하는 것이 아닙니다.

⑤ 밤 낯없이 같은 사람을 계속 보면서 함께 산다는 것 자체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3. 신대원 공동생활  

① 제 오랜 경험으로 보면, 신대원에 입학하면, 첫 학기는 매우 잘 지냅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서, 서로 알아가려는 기대감에 가득 차 있는 모습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② 하지만 두번째 학기쯤 되면, 이제는 서로에 대한 파악이 어느정도 끝난 것입니다. 그러면서 상당히 조용해집니다. 그리고는 얼굴에 피곤함도 나타납니다. 더 이상 새로울 것도 바랄 것도 없다는 표정이 되어갑니다.

③ 그리고 세번째 네번째 학기 정도 되면, 서로 찾기 보다는, 웬만하면 서로 부딪히지 않으려고 피하는 모습이 역력하고, 때로는 얼굴에 서로에 대한 미움과 분노가 가득해 보일 때도 있습니다. 누군가를 지극히 싫어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곁에 있는 모든 것이 싫다는 표정도 있고, 끼리끼리 갈라져 모이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가끔 서로 싸우기도 합니다. 또 때로는 "왜 우리가 이렇게 기숙사에서 함께 살아야 합니까?" " 이게 무슨 공동체 생활이고, 영성 훈련입니까"라는 불만이 터져 나오기도 합니다.

④ 그리고 다섯째 학기 정도되면, 이미 모든 것을 다 앓아버린 사람들처럼, 더 이상 서로에 대해 아무런 새로운 기대도 없는 사람들처럼, 냉랭하게 삽니다. 그리고 졸업할 때쯤 되면, 후회의 빛이 얼굴에 나타납니다. 조금 더 잘 지낼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후회같은 것이겠지요.

⑤ 사실 저는 신입생이 올 때 마다, 신대원에서 공동생활에 대해서 미리 이야기합니다. 이 공동 생활은 정말로 여러분이 목회자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 판가름하는 시험대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함께 살다 보면 서로 미워하게도 되겠지만, 그 미워하는 마음을 이겨내면서, 서로를 하느님의 소중한 자녀로 생명으로, 하느님의 신비를 대하듯 새롭게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목회적 영성은, 바로 그것이다. 매일 만나는 사람까지도, 언제나 새로운 기대를 품고 바라볼 수 있는 마음가짐, 그것이 없다면, 목회를 하기 힘들다는 것을 매번 강조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제일 어렵고도 쉽지 않은 것입니다.

⑥ 하느님 나라와 그 하느님 나라의 삶을 살려고 하는 교회는, 다른 사람들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결정적으로 세상 나라와 다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⑦ 때문에 교회의 일을 해야 하는 사람, 하느님 나라의 삶을 미리 살아야 하는 사람은, 사람을 대하는 태도를 제일 먼저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⑧ 신학교의 공동생활을 바로 그와 같은 변화를 위한 훈련 과정입니다. 



4. 전혀 다른 관계의 세계   

① 이처럼 하느님나라와, 세상 나라의 차이는 한마디로, 이웃과 주변을 바라보는 시선이 완전히 다른 두 세계라고 생각합니다.  

② 세상 나라를 살아가는 우리는 세상의 경쟁적이고 폭력적인 삶의 방식을 그대로 배우면서 자라게 됩니다. 

③ 그래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도, 그 사람이 내게 무슨 유익이 될지를 먼저 생각하고, 나의 이익을 중심으로 그 사람을 이해하고, 파악하고, 개념으로 정의합니다. 

④ 그리고는 그렇게 파악하고 정의하는 일이 끝나고 나면, 더 이상 상대방에 대해서 새로운 기대를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약에 내 예상 밖의 행동을 보이면, 오히려 그 사람을 비정상적인 사람으로 취급합니다. 한 마디로 내 생각 속에다 상대방을 가두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⑤ 친구들 사이나 부부 사이에서도 잘 나타나지 않습니까? 대개는 내 친구, 내 남편, 내 아내에 대해서 어떤 사람인지 이미 정의가 끝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새로운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오히려 그들이 새로운 행동을 하거나, 예상 밖의 생각을 하고 있으면, 그것을 이상한 행동이라고 여기고, 제 정신이 아닌 것이라 생각하면서, 상대방을 비난하기까지 합니다. 

⑥ 이게 세상 나라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입니다. 세상 나라에서는, 주변의 모든 사람을 자기 식으로 잘 정의해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잘 활용하는 사람이 성공합니다. 

⑦ 나와 세상 사람들이 이미 희망이 없다 정의한 사람들에게 어떤 기대와 희망을 갖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⑧ 하지만, 하느님 나라에서는 다릅니다. 하느님나라를 선포하시는 예수님은 다릅니다. 그 세상 나라가 버린 사람에게 오히려 희망을 두셨습니다. 세상이 이미 다 정의해서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고 판단한 사람들에게서, 오히려 새로운 희망을 봅니다. 

⑨ 가족이나 부부로 여러 해를 같이 살다 보면, 서로를 이미 잘 알게 되지요. 그래서 우리는 내 남편에 대해서, 내 아내에 대해서, 그리고 내 자식에 대해서, 모두 다 안다고 생각합니다. 

⑩ 저는 이러한 태도가 죄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태도가 세상나라가 여러분에게 가르쳐 준 태도요, 잘못된 사람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⑪ 내 아내도, 내 남편도, 내 자식도 결코 나의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이 계획을 세우시고 보내신 신비한 존재들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내 맘대로, “너는 혹은 당신은 이런 사람이야”라고 정의해서, 내 생각의 감옥에 그 사람들을 가둘 수 있다는 말입니까? 

⑫ 교회가 하느님 나라의 공동체인 이유는, 세상 사람들이 사람들을 바라보듯이 바라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평가로는 꼴찌라 할지라도, 교회 안에서는 다같이 하느님의 소중한 자녀로 취급하기 때문에, 교회를 교회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⑬ 성인들은 이렇게 말했어요, “인간의 인간에 관한 모든 정의와 설명은 결코 인간을 다 설명할 수 없다. 인간은 그 자체가 신비다.”

⑭ 결국 하느님 나라와, 세상 나라의 차이는, 다른 사람들을 바라보는 태도에서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을 사물을 대하듯이, 무슨 도구를 대하듯이, 용도에 따라 처분하는 방식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신비로운 존재, 결코 내가 다 알 수 없는 존재, 언제든지 새로운 가르침을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는 존재로 보는 나라가 곧 하느님 나라인 것입니다. 

⑮ 내가 정말로 사람을 사람으로 보고 있는 것인지, 내가 정말로 내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신비하고도 존엄한 하느님의 창조물로 보고 있는 것인지, 깊이 생각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말씀/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림 1주일 가정예배문  (0) 2018.12.06
대림절의 의미  (0) 2018.12.04
하느님 나라를 살아가는 구심점, 성전!  (0) 2018.11.18
신앙은 청지기 삶!  (0) 2018.11.11
감사하는 삶, 하느님 나라에 가까운 삶!  (0) 2018.11.04

댓글